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공유기 끊김
- 함수 처리
- 어택 방어
- nodeJS
- C변수
- 마우스 위치
- c# 스레드
- REAT란
- nodejs서버
- nodejs설치
- nodejsreact
- 어택 하는법
- c# 생성자
- c# python
- 자료형 종류
- React장점
- visual studio python
- dos어택
- C#
- nodejs개요
- React APP
- C# 메서드
- C메서드
- 마우스 추출
- C# 변수
- c# class
- C#함수
- 토크온 어택
- nodejs구축
- nodejs공식사이트
- Today
- Total
Data Drink
Step1. Class를 사용해보자 (Class의 정의, 생성자) 본문
이번 시간에는 Class의 정의와 생성자에대해서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Class란>
클래스(Class)는 다른 곳에서 많은 정의를 내리고있는데요, 제가 쉽게 이해하기위해서 예를들어 설명드려볼까 합니다.
약통을 예를 들어봅시다!
약통(Class)과 약(객체, Object, 인스턴스)이 있다고 생각했을때 약통안에는 다양한 약들이 들어가게됩니다.
하지만 공통점으로 같은 약통에 들어가있으며 한공간에 있는것이지요 이것을 쉽게 클래스와 객체로 이해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Class를 왜 사용하나요?>
작은 프로그램 즉 간단한 프로그램에서는 Class의 원리가 필요없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복잡한 프로그램에 있어서 객체 프로그래밍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작업에 참여하는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생각하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하신다면 그 구성요소들, 즉, '객체'를 만들 필요성이 생길 테고, 그걸 편하게 해 주는 게 클래스이기 때문입니다.
<Class 생성자란?>
[특징 1] 생성자는 이름이 클래스의 이름과 같습니다.
[특징 2] 생성자는 다른 메소드와 같이 매개변수를 가질 수 있습니다.
[특징 3] 생성자는 다른 메소드와 같이 매개변수를 가질 수 있습니다.
[특징 4] 생성자는 다른 메소드처럼 특정 값을 변환 할 수 없습니다.
[특징 5] 생성자는 객체를 생성시 호출되는 메소드입니다.
[특징 6] 생성자는 따로 생성자를 만들지 않아도 컴파일러에서 자동으로 생성자를 만들어줍니다.
[특징 7] 생성자는 주로 객체 내의 정보를 초기화 하는 수단으로 사용합니다. *retrun 값은 없습니다
<Class 생성자 기본 구문>
1
2
3
4
5
6
7
8
|
class 클래스명 {
[접근 제한자] 클래스명(매개변수..)
{
//
}
..
}
|
cs |
<Class 생성자를 이용한 구문>
1
2
3
4
5
6
7
8
9
10
11
|
class Person
{
private int age;
private string mobilenum = "";
public Person(int age, string mobilenum)
{
this.age = 30;
this.mobilenum = "010-1111-2222";
}
|
cs |
1행에서 Class Person이라고 Main클래스를 선언하구있습니다.
6행에서는 1행에서 선언한 클래스 이름과 같은 이름을 사용하는 생성자를 선언하구있습니다.
생성자를 이용해서 8~9행에서는 필드변수의 데이터를 정의하구 있습니다.
이번시간에는 Class의 정의와 생성자에대해선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다음편에는 소멸자와 Class를 한번 만들어서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